맨위로가기

대기층 (암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기층 (암석)은 대한민국 강원도 일대에 분포하는 석회암 지층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지층의 특징과 생성 환경이 밝혀졌다. 정창희는 대기층을 하부 교호대와 상부 풍촌층원으로 구분했으며, 삼엽충 화석 연구를 통해 캄브리아기 중기에 형성되었음을 확인했다. 이 지층은 정선 화암동굴, 동해 추암촛대바위,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등 다양한 지질 유산을 형성하며, 지역별로 분포 및 암석 구성에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르도비스기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오르도비스기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캄브리아기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캄브리아기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석회암 지층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석회암 지층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대기층 (암석)
개요
태백시 동점동 태백동점산업단지 내 풍촌 석회암층 (대기층)에 발달한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모습
태백시 동점동 태백동점산업단지 내 풍촌 석회암층 (대기층)에 발달한 스트로마톨라이트의 모습이다. 37°05′05.3″N 129°02′31.9″E
이름대기층 (1930~)
다른 이름풍촌 석회암층 (1962~)
유형퇴적암
주 암질석회암
나머지 암질셰일
이름 유래정선군 화암면 호촌리에 위치한 풍촌 마을
명명고바야시 (1930, 대기층)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 (1962, 풍촌 석회암층)
위치강원특별자치도
나라대한민국
지질
상위 단위조선 누층군
하층묘봉층
상층세송층
두께190 m 내외 (삼척시)
200~300 m (태백시 동점동)
180 m (석개재)
400 m 내외 (영월군)
250~300 m (단양군)
시대고생대
시기캄브리아기
분포 지역
지역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정선군, 평창군, 영월군, 태백시, 삼척시
충청북도 단양군
경상북도 울진군

2. 지층 연구사

풍촌 석회암층에 대한 연구는 193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초기 연구는 주로 삼엽충 화석에 집중되었는데, 고바야시(1935, 1966)는 대기층에서 3개의 삼엽충 생층서대를 인지하고 이를 북중국의 중기 캄브리아기 장샤절에 대비하였다.[3] 이후 이하영 등(1992)은 대기층에서 다양한 화석을 보고하고 캄브리아기 중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4] 강임성과 최덕근(2007)은 대기층에서 17종의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고 3개의 생층서대를 제안하며, 이들을 역시 장샤절에 대비하였다.[5] 강임성과 최덕근이 설정한 ''Cyclolorenzella'' 생층서대는 이후 박태윤 등에 의해 ''Jiulongshania'' 생층서대로 변경되었다.[6]

정창희(1969)는 삼척탄전 지역의 대기층을 하부 교호대와 상부 풍촌층원으로 구분하였다.[28] 김정률과 박용안(1981)은 풍촌 석회암층이 얕은 바다에서 퇴적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29] 강성승과 장보안(2022)은 방해석 쌍정을 이용해 고응력장을 규명하고, 송림 변동, 대보 조산운동, 불국사 변동의 영향을 받았음을 밝혔다.[31]

2. 1. 삼엽충 화석 연구

고바야시(1935, 1966)는 대기층에서 아래로부터 ''Megagraulos'', ''Solenoparia'', ''Olenoides'' 3개의 삼엽충 생층서대를 인지하고 이들을 북중국의 중기 캄브리아기 장샤절(Zhangxian; 張夏節)에 대비하였다.[3] 이하영 등(1992)은 대기층에서 ''Amictorcracens teres'', ''Ocruranus trulliformis'', ''Treptotreta'' sp., ''Microdictyon'' 등의 화석을 보고하고 캄브리아기 중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4]

강임성과 최덕근(2007)은 석개재 단면의 대기층에서 17종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고 ''Crepicephalina'', ''Amphoton'', ''Cyclolorenzella'' 3개 생층서대를 제안하면서 이들을 역시 장샤절에 대비하였다. 이 생층서대는 캄브리아기 중기에 해당하고 북중국의 Crepicephalina, Amphoton, Damesella-Yabeia 생층서대에 대비된다.[5]

강임성과 최덕근은 ''Cyclolorenzella rotundata''의 산출을 바탕으로 ''Cyclolorenzella'' 생층서대를 설정하였는데, 박태윤 등이 ''Cyclolorenzella rotundata''가 새로운 속 ''Jiulongshania''에 속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Cyclolorenzella''는 ''Jiulongshania'' 생층서대로 바뀌게 되었다.[6]

하부 ''Crepicephalina'' 대, 중부 ''Amphoton '' 대, 상부 ''Cyclolorenzella'' 대에서 산출되는 삼엽충은 다음과 같다.

생층서대산출되는 삼엽충
하부 CrepicephalinaProasaphiscus sp., Metanomocarella tumida, Changqingia deprati, Manchuriella macar, Ignotogregatus sp. cf. I. manholi, Ammagnostus laiwuensis
중부 Amphoton Amphoton deois, Dorypyge richthofeni
상부 CyclolorenzellaCyclolorenzella rotundata, Cyclolorenzella sp, Blackwelderia sp., Teinistion? sp., Palaeadotes? sp.


2. 2. 퇴적 환경 및 기타 연구

정창희(1969)는 삼척탄전 지역의 대기층을 하부 교호대와 상부 풍촌층원으로 구분하였다. 하부 교호대는 1~10 m 두께의 점판암석회암이 교호하는 부분으로 전체 두께는 50 m이며 묘봉층에서 상부의 석회암으로 점이하는 부분이다. 풍촌층원은 유백색과 분홍빛을 띠는 흰색의 괴상(塊狀) 석회암으로 구성된다.[28]

김정률과 박용안(1981)은 풍촌 석회암층이 25~35°C의 수온과 36~45‰의 염분을 갖는 수심 10 m 내외의 얕은 바다에서 퇴적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29]

강성승과 장보안(2022)은 백운산 향사대 일대에 분포하는 풍촌 석회암층에서 6개의 시료를 채취하고 방해석 쌍정(雙晶)의 변형률과 고응력장의 상대적 크기와 방향 등을 계산하여 고응력장을 규명하였다. 계산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압축응력이 2번 이상 작용하였고 압축응력은 대략 동-서 방향이 우세하며 북서-남동 및 북동-남서 방향성도 보인다. 방해석 쌍정에는 중생대 초 송림 변동 시기에 가장 큰 압축응력이 작용하였고 대보 조산운동과 불국사 변동의 영향도 받은 것으로 보인다.[31]

3. 지역별 분포 및 특징

풍촌 석회암층(대기층)은 강원도경상북도 일대에 넓게 분포하며, 삼엽충 화석 연구를 통해 캄브리아기 중기에 생성된 지층으로 밝혀졌다. 고바야시(1935, 1966)는 대기층에서 3개의 삼엽충 생층서대를 인지하고 이를 북중국의 중기 캄브리아기 장샤절(Zhangxian)에 대비하였다.[3] 이하영 등(1992)은 대기층에서 발견된 화석을 근거로 캄브리아기 중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4] 강임성과 최덕근(2007)은 석개재 단면의 대기층에서 17종의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고 3개의 생층서대를 제안하였으며, 이 역시 장샤절에 대비된다고 보았다.[5]

태백산지구 지하자원 조사보고서(1962)에 따르면, 풍촌 석회암층은 주로 유백색의 괴상(塊狀) 결정질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간혹 흑색 셰일을 협재하는 두꺼운 석회암 지층이다. 이 지층은 묘봉층을 정합적으로 덮고 화절층에 의해 정합적으로 덮이며, 두께는 200~500m이다.[7]

풍촌 석회암층은 지역에 따라 암상, 두께, 지질 구조, 동굴 발달 등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주요 분포 지역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3. 1. 정선군

정선군 내에서 풍촌 석회암층은 화암면남면, 임계면 곳곳에 분포한다. 이 지층은 백색-유백색 괴상(塊狀) 석회암, 담회색-회색 석회암, 암회색 석회암, 담회색 백운암 등으로 구성되며, 주로 담회색 석회암 내에 엽리가 발달되어 있다.[8][9] 지층 가운데의 암회색 백운암을 기준으로 상부 석회암대(帶), 하부 석회암대로 구분된다.

  • 풍촌층 하부 석회암대는 주로 담회색-암회색 니질 석회암이 우세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본 층 상부에 돌로마이트가 협재되어 나타난다. 구조적인 변형 작용에 의해 석회암 내의 엽리가 발달되어 있으며, 하부 석회암대의 두께는 약 140 m이다.[1]
  • 풍촌층 중부 백운암대는 괴상의 담회색-암회색 백운암으로 구성되며 일부 셰일 및 석회암이 협재되어 있다. 대체로 하부에는 암회색 괴상 백운암이, 상부에는 담회색 괴상 돌로마이트가 우세하게 발달하며, 최상부에는 부분적으로 고품위의 백색 석회암이 불규칙하게 협재하여 분포하기도 한다. 화암면에 분포하는 중부 백운암대의 두께는 약 30 m이다.[1]
  • 풍촌층 상부 석회암대는 화암면에서 주로 담회색-암회색 니질(泥質)석회암과 유백색-백색 괴상(塊狀)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하부 석회암대와 암상이 동일한 담회색-암회색 니질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유백색 괴상 석회암이 우세하나 부분적으로 담회색-암회색 석회암이 협재되어 있다. 화암면에 분포하는 상부 석회암대의 두께는 약 45 m이다.[1]


일반적으로 상부 석회암대가 대부분 백색-유백색 괴상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는 주변 광구들과는 달리 화암면의 상부 석회암대는 대부분 담회색-암회색 석회암이 나타나며, 중북부에서 제한적으로 백색-유백색 괴상 석회암이 나타난다. 화암면 화암리 중심부 일대에서는 남-북 주향의 단층과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풍촌층이 2회 반복 분포하고, 단층에 동반된 습곡 작용에 의해 심한 변형을 보이며 복잡한 분포 양상을 나타낸다. 석회암 동굴인 '''정선 화암동굴'''이 바로 이 지층에 발달하고 있다.[8][9]

정선군 남면 지역의 풍촌 석회암층은 광상과 관련되는 중요한 지층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한 2개 조의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3회 반복되며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예미 14호 광구에서는 북동 20~30°방향으로 발달된 역단층에 의해 그 분포가 제한되고 예미 36, 46호 광구에서는 북동 30~70° 방향으로 발달된 후향 스러스트(back thrust)에 의해 그 분포가 제한된다. 예미 24, 25호 광구에서는 예미 스러스트 단층에 의해 풍촌 석회암층이 반복되어 넓게 분포하는데 특히 예미 25호 광구 동편에서는 예미 스러스트 단층에 이끌려 클리페(Klippe) 구조로 화절층 상위에 풍촌 석회암층 하부 석회암대가 충상되어 발달되기도 한다. 이 층은 백색-유백색 괴상 석회암, 담회색-회색 석회암, 암회색 괴상 석회암, 담홍색-잡색 석회암, 회색-담회색 돌로마이트, 암회색 괴상 돌로마이트, 녹회색 점판암 등으로 구성되는데 화절층과의 경계부에는 어란상 석회암(oolitic limestone)이 3~10 m 폭으로 협재되어 있다. 하부에는 회색-담회색 괴상 석회암, 중부에는 회색-암회색 돌로마이트, 상부에는 백색, 담회색-유백색 석회암이 우세하게 발달한다.[10]

정선군 남면 무릉리 78에 위치한 무릉리 동남 철광산은 태백산 광화대의 북서부에 해당하며 1960년대 초부터 자철석 및 망간광석을 채광하였으나 지금은 폐광되었다. 이 광상은 , 몰리브데넘, 연-아연, 및 망간의 스카른형 다금속 광상으로, 백악기섬록암이 풍촌 석회암층을 관입하여 접촉교대형 스카른 광상을 형성하였다.[11]

정선 화암동굴이 풍촌 석회암층 중에 발달한다.

정선군 남면 무릉리의 민둥산 일대의 대기 석회암층에는 카르스트 지형이 밀집 분포하며 민둥산 정상부 부근과 발구덕 마을 지역에 최소 12개 이상의 돌리네가 발달하고 이 외에 우발라, 카렌, 석회동굴 등이 발달한다. 임계면 송계리 산 69-1에는 풍촌 석회암층이 국소적으로 드러나 있다. 정선군 임계면 직원리의 풍촌 석회암층 일대에 발달하는 '''정선 백복령 카르스트지대'''에서는 130개의 돌리네와 1개의 우발라, 28개의 싱크홀, 4개의 석회동굴이 발달한다.[1]

3. 2. 평창군

평창군 대화면 상안미리와 개수리 지역에 묘봉층 상위에 남-북 방향의 축을 가진 소규모의 향사 습곡축을 따라 국부적으로 분포한다. 이 지층은 유백색의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묘봉층과 평행한 대상(帶狀) 분포를 보여 주므로 풍촌 석회암층임이 인지된다.[12]

3. 3. 동해시

동해시 천곡동 일대의 풍촌 석회암층(대기층)에는 '''천곡동굴'''과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한다.[1] 북평여자고등학교 맞은편에 위치한 천곡동굴은 주택지 개발 중 발견된 동굴로 종유석, 석순 등이 발달하며, 배후 산지에는 돌리네우발라 같은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한다. 지표의 카르스트 지형과 천곡동굴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1]

3. 4. 삼척시, 태백시

대기층은 주로 암회색-청회색, 유백색 석회암과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13] 삼척-고사리 지질도폭(1994)에 따르면, 노곡면 상월산리 부근에서는 대기층 최하부에서 어란상(물고기 알 모양) 석회암이 확인되었다.[13] 대기층은 삼척역 인근, 노곡면, 도계읍,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하장면 등에 넓게 분포하며, 암상에 따라 상, 중, 하부층원으로 구분된다. 대기층의 두께는 190m 내외이다.[13]

대기층의 각 층원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층원구성 암석두께특징
하부층원암회색 석회암약 20 m-
암회색 호상-편상석회암약 15 m-
우백색 석회암20 m동양시멘트공장에서 석회석 원광석으로 사용[1]
돌로마이트질 석회암30 m-
중부층원담회색 괴상(塊狀) 석회암약 30 m시멘트 원광석으로 사용[1]
암회색 결정질 석회암약 20 m담홍색을 띠는 경우 대리암으로 취급[1]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약 10 m-
상부층원호상 석회암15~20 m상부로 갈수록 얇은 층의 셰일을 많이 협재하여 화절층으로 점이[1]



장성 지질도폭(1967)에 따르면, 대기층은 유백색, 회백색, 청회색 괴상(덩어리) 결정질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층리의 발달이 거의 없다. 묘봉 (서)북측 사면과 묘봉 북동쪽에서 양호하게 드러나며, 덕풍계곡에서 북서 방향 단층을 넘어 변위되면서 동북동으로 연장되고 이후 선캄브리아기 홍제사 화강암 내에 첨멸한다. 대기층 분포지에는 카르스트 지형이 형성되어 있는데, 묘봉 정상부에서 돌리네와 카렌필드를 볼 수 있다. 지층의 두께는 200~300m이다.[14]

태백시 백산 지역의 풍촌 석회암층(대기층)은 대부분 적회색, 백회색, 암회색의 돌로마이트질 석회암과 석회암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지역과는 달리 하부에 층리 구조가 잘 나타난다. 노두(암석이 드러난 곳)의 기저로부터 약 65m 층준에는 돌로마이트질 석회질 역암이 나타나며, 상부에는 결정질 석회암이 나타난다. 노두의 기저로부터 30~50m 지점에 0.5~1m 두께의 판상 석회질 역암이 3차례 협재된다.[15]

동점-장성 지역의 풍촌 석회암층(대기층)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 박병권과 우경식(1986)은 탄소 및 산소 동위원소 값 분석을 통해 풍촌 석회암층이 온도 42.8~67.4°C, 1.4~2.2km 깊이에서 속성 작용을 받은 것으로 해석했다.[16]
  • 박병권과 한상준(1986.6)은 미량 원소 분석을 통해 풍촌 석회암층이 대륙붕에서 대륙사면의 상부에 이르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분석했다.[17]
  • 박병권과 한상준(1986.9)은 어란상 탄산염암 연구를 통해 캄브리아기 수심 3~5m 미만의 우이드 여울 퇴적환경에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했다.[18]
  • 박병권 외(1987)는 풍촌 석회암층 하부에 협재된 이암층이 현생의 니질 갯벌과 유사한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했다.[19]
  • 박병권과 한상준(1987)은 암상 분석을 통해 풍촌 석회암층을 탄산염 초(礁, reef) 전사면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하고, 각력암상은 지각운동이 활발한 지역의 대륙붕에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했다.[20]
  • 박병권과 한상준(1987.6)은 풍촌 석회암층 상부 120m 구간의 적색 니질 성분이 지표 풍화 작용으로 형성된 철 이온(Fe2+)과 침철석이 니질 퇴적물과 같이 퇴적되어 속성작용 초기에 적철석으로 변함에 따라 적색을 띠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21]
  • 박병권과 한상준(1987.12)은 풍촌 석회암층 하부에 협재된 탄산염 각력암층이 해침 환경 하에 있었으며 초(礁) 후사면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했다.[22]


태백시 동점 지역의 풍촌 석회암층(대기층)은 서쪽에 분포하는 주향 이동 단층의 영향으로 동쪽은 완만한 습곡 형태로, 서쪽은 단층의 영향으로 북쪽으로 경사져 있다. 주요 구성 암석은 백색-유백색 괴상 석회암, 담회-회색 괴상 석회암, 암회색 괴상 석회암 등이다. 풍촌 석회암층 최상부 약 20m 구간은 백색-유백색 괴상 석회암이 우세하며, 국내 석회석 자원 산업에서 주로 사용된다. 풍촌 석회암층은 평균 200-300m 두께를 가지며, 주로 괴상의 밝은색 석회암과 어란상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점 지역에서는 습곡 및 단층의 영향으로 서쪽에는 약 90m 내외, 동쪽에는 약 110m 이상으로 나타난다.[23]

동점 지역 내 풍촌층(대기층)은 하부 석회암대와 상부 석회암대로 구분된다.

  • 풍촌층 하부 석회암대는 동점 지역에 약 90m 폭으로 관찰되며, 묘봉층 위에 정합적으로 놓인다. 동점 지역 서쪽에서는 남-북 주향의 2개 조의 단층에 의해 단절된다. 주로 담회색-암회색 괴상 석회암이 우세하며, 부분적으로 (유)백색 괴상 석회암이 발달한다.[1]
  • 풍촌층 상부 석회암대는 최상부 약 20m 구간에 해당하며 화절층에 의해 정합적으로 덮인다. 서쪽에 남-북 방향 주향 이동 단층을 기준으로 풍촌층 하부 석회암과 마찬가지로 단층의 영향으로 연장이 단절되어 있다. 암상은 주로 (유)백색, 일부 담회색 괴상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1]


동해시 추암동의 '''추암촛대바위'''는 대기 석회암층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해안 카르스트 지형이다. 추암촛대바위 해안에는 카렌 지형, 해식 동굴, 시스택 등이 발달한다.[1]

삼척시 건지동 일대의 대기 석회암층은 유백색-담회색 결정질 석회암층이 우세하며 돌리네, 우발라, 카렌, 테라로사와 같은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나, 현재는 경작 및 토목 공사로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1]

삼척시 근덕면 금계리에 위치한 '''삼척 초당굴'''은 대기 석회암층 내부에 수직과 수평 통로가 반복되는 다층 구조로 발달한다. 초당굴의 하부는 소한굴 상부와 수중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천연기념물 제226호로 지정된 후 출입이 제한되어 보존 상태가 좋다.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위치한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의 환선굴, 관음굴, 대금굴, 큰재세굴의 입구는 대기 석회암층 중에 형성되어 있으나, 동굴의 규모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입구의 지층과 동굴 내부의 지층이 다르며 동굴이 여러 지층에 걸쳐 발달하기도 한다.[1]

3. 5. 석개재

석개재 단면에는 180 m 두께의 풍촌 석회암층이 드러나 있으며, 온콜라이트와 어란상 입자암(oncoid/ooid grainstone), 괴상 입자암, 와케스톤, (녹회색) 이암 등으로 구성된다. 상부 경계는 세송층 최하부의 셰일 또는 실트스톤이다.[1] 이곳의 대기층은 두께 45 m의 하부층과 탄산염암이 우세한 130 m 두께의 상부층으로 나누어진다. 이 지층에서는 삼엽충 화석 ''Ammagnostus'', ''Peronopsis'', ''Dorypyge'', ''Amphoton'', ''Crepicephalina'', ''Cyclolorenzella'', ''Liostracina'', ''Metanomocarella''가 발견되었다. 중기~후기 캄브리아기를 지시하는 이 화석군은 북중국의 Zhangxia, Gushan층과 비슷하다.[1]

3. 6. 울진군

1993년 죽변 지질도폭에 의하면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주인리에 묘봉층과 같이 분포하는, 거의 순수한 백색 내지 담회색 석회암으로서 상부가 유문암질암에 의해 관입 융식(融蝕)되거나 분출 피복되어 있다. 본 층의 주향과 경사는 북서 50~60°및 북동 60~70°이며 울진광산 북부에서는 사암, 셰일 및 역암으로 구성된 사곡리층에 의해 덮여 있으며 백운모 화강암과 유문암질암과 접하는 부분은 스카른(skarn)화 되어 있고 때로는 광화 작용을 받아 광상을 형성하기도 한다.[24]

김련 외(2010)는 성류굴 주변에 분포하는 기존의 원남층군 장군석회암층을 대기층, 화절층, 동점층에 대비하였다. 성류굴 지역의 대기층은 주로 유백색의 괴상(塊狀) 결정질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타 지역과 달리 생쇄설 입자와 우이드(ooid)가 거의 없고 이는 극심한 열수변질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매우 드물게 발견되는 우이드는 천해의 퇴적환경을 지시한다.[25]

3. 7. 영월군

1966년 옥동 지질도폭에 의하면 대기층은 주로 회색의 괴상(塊狀)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위로 갈수록 백색으로 변하나 약간의 호상(縞狀) 구조를 띠게 되며 상위의 화절층으로 점이한다. 이 지층의 상부에는 분대(分帶)가 가능할 정도의 두께와 연속성을 가진 백색 돌로마이트 지층이 협재되어 있다. 대기층의 두께는 400 m 내외이다.[26]

3. 8. 단양군

묘봉층 서측을 따라 대상(帶狀)으로 발달하며, 가곡면, 어상천면, 대강면 등에 분포한다. 암석의 구성에 따라 하부, 중부, 상부 3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지층의 두께는 250~300 m이다.[27]

  • 하부는 비교적 순수한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특히 백색 석회암이 회색 및 청회색 석회암과 호층(互層)으로 협재되어 있음이 특징이다. 석회암은 일반적으로 수 mm 에서 3 cm 내외의 두께로 백색 및 청회색 석회질대와 황갈색 점토질과의 호층에 의해 호상(縞狀) 구조를 이루는 부분이 많고 이들은 곳에 따라 심한 프티그마틱 습곡(Ptygamatic foldong)을 보인다. 이들 호상 석회암 외에 치밀한 결정질 괴상(塊狀) 석회암도 협재되며 이들은 30~50 cm 간격으로 층리면에 평행한 판상 구조를 갖는다. 죽령 단층 이남의 본 석회암은 중생대 흑운모 화강암의 관입에 의한 열변질 작용으로 흔히 사카로이달 조직(Saccaroidal texture)을 보인다.
  • 하부 석회암대 상부에는 얇은 녹회색 셰일 및 점판암이 불연속적으로 협재된다. 이 점판암류는 층리면에 평행한 판상 벽개면(劈開面)이 현저하며 일반적으로 노두로 나타나는 일이 드물고 5~15 m의 두께를 가지나 곳에 따라서는 첨멸한다.
  • 점판암류 상부에는 돌로마이트로 구성된다. 이 돌로마이트는 그의 풍화면이 타 암석과 달리 흑색의 괴상(塊狀)을 이루고 층리의 발달이 좋지 않으나 야외에서 쉽게 식별된다.
  • 단양군 단양읍 천동리에 위치한 '''천동동굴'''이 풍촌 석회암층 중에 발달해 있다.[1]

4. 지질 유산

풍촌 석회암층(대기층)은 동해시 천곡동 일대에 분포하며, '''천곡동굴'''과 돌리네, 우발라 같은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한다. 천곡동굴은 주택지 개발 중 발견되었으며 종유석, 석순 등이 발달한 석회동굴로, 북평여자고등학교 맞은편에 위치한다.[1]

1994년 삼척-고사리 지질도폭에 따르면, 풍촌 석회암층은 삼척역 인근, 노곡면, 도계읍,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하장면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띠 모양으로 분포한다.[13]

동해시 추암동에 있는 '''추암촛대바위'''는 대기 석회암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안 카르스트 지형, 해식 동굴, 시스택 등이 발달한다.[1]

삼척시 건지동 일대의 대기 석회암층에는 돌리네, 우발라, 카렌, 테라로사와 같은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였으나, 현재는 경작 및 토목 공사로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1]

삼척시 근덕면 금계리에 있는 '''삼척 초당굴'''은 대기 석회암층 내부에 수직과 수평 통로가 반복되는 다층 구조로 발달하며, 소한굴 상부와 수중으로 연결되어 있다. 천연기념물 제226호로 지정된 후 출입이 제한되어 보존 상태가 좋다.[1]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에 있는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의 환선굴, 관음굴, 대금굴, 큰재세굴 입구는 대기 석회암층 중에 형성되어 있다.[1]

단양군 단양읍 천동리에 있는 '''천동동굴'''은 풍촌 석회암층 중에 발달해 있다.[1]

4. 1. 주요 지질 유산

참조

[1] 웹인용 천동동굴의 동굴환경에 관한 연구 https://www.dbpia.co[...] 한국동굴학회 1990
[2] 저널 A review of the stratigraphy of the Lower Paleozoic Joseon Supergroup (하부 고생대 조선누층군 층서 재고찰) https://www.dbpia.co[...] 2021-08
[3] 저널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in the Seokgaejae section, Taebaeksan Basin: a refined lower Paleozoic stratigraphy in Korea https://www.proquest[...] 2004-06
[4] 저널 Small Shelly Fossils and Conodonts from the Myobong and Daegi Formations in Baegunsan Syncline, Yeongwol-Jeongseon Area, Kangwon-Do (강원도 영월-정선지역의 백운산향사대에 분포하는 묘봉층과 대기층에 대한 미화석연구) https://www.dbpia.co[...] 1992-12
[5] 저널 Middle cambrian trilobites and biostratigraphy of the daegi formation (Taebaek Group) in the Seokgaejae section, Taebaeksan Basin, Korea https://www.proquest[...] 2007-12
[6] 저널 Two middle Cambrian trilobite genera, Cyclolorenzella Kobayashi, 1960 and Jiulongshania gen. nov., from Korea and China https://www.tandfonl[...] 2008-08
[7] 웹인용 태백산지구 지하자원 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2
[8] 웹인용 강원도 정선군 화암면 일대에 분포하는 하부 고생대층의 지질구조, 변형사 및 3차원적 모델링 분석 (Geological structure, deformation, and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the Lower Paleozoic strata in the area of Hwaam-myeon, Jungsun-gun, Gangwon-do) http://www.riss.kr/s[...]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9] 웹인용 강원도 정선군 화암면 화암리 일대의 3차원적 지질구조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geologic structures at the Hwaam-ri, Hwaam-myeon, Jeongseon-gun, Kangwon-do, Korea) http://www.riss.kr/s[...]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10] 저널 정선군 남면 지역에 분포하는 고품위 석회석의 부존 특성 https://scienceon.ki[...] 2002
[11] 서적 강원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Gangwon Province) 국립공원공단, [[대한지질학회]] 2019-12
[12] 웹인용 平昌·寧越 地質圖幅說明書 (평창·영월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9
[13] 웹인용 삼척-고사리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4
[14] 웹인용 長省 地質圖幅說明書 (장성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
[15] 저널 강원도 태백시 일대에 분포하는 풍촌층 돌로마이트의 성인 (The origin of the dolomite of the Pungchon Formation near Taebaeg City, Kangwondo, Korea) https://scienceon.ki[...] 1995
[16] 저널 Carbon and Oxygen Isotopic Composition of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의 탄소 및 산소 동위원소 성분) https://www.dbpia.co[...] 1986-03
[17] 저널 Trace Elements of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의 미량 원소) https://www.dbpia.co[...] 1986-06
[18] 저널 Middle Cambrian Ooid Shoal Deposits: The Oolitic Carbonate Rocks of Lower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중부 캠브리아기 우이드 여울 퇴적층 : 풍촌석회암층 하부의 어란상 탄산염암) https://www.dbpia.co[...] 1986-09
[19] 저널 Cambrian Peritidal Mudstone Deposits Interbedded in the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풍촌석회암층 내에 협재된 캠브리아기 조간대 이암층) https://www.dbpia.co[...] 1987-03
[20] 저널 Middle Cambrian Carbonate Fore-reef Slope Deposits of the Upper Part of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풍촌석회암층 상부의 중부 캠브리아계 탄산염 초 전사면 퇴적층) https://www.dbpia.co[...] 1987-09
[21] 저널 Origin of Red Argillaceous Composition in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에 함유된 적색 이질 성분의 기원) https://www.dbpia.co[...] 1987-06
[22] 저널 중부 캄브리아계 초 후사면 퇴적층 : 하부 풍촌석회암층에 협재된 탄산염 퇴적층 https://www.dbpia.co[...] 1987-12
[23] 웹인용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 일대의 지질구조 및 지질모델링 (Geologic structures and geological modeling at the Dongjum-dong, Taebaek-city, Kangwon-do, Korea) http://www.riss.kr/s[...]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24] 웹인용 竹邊-臨院津圖幅 地質報告書 (죽변-임원진항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3
[25] 웹인용 성류굴(천연기념물 제155호)의 과학적 중요성 (Scientific Significances of the Seongryu Cave (Natural Monument No. 155) https://scienceon.ki[...]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26] 웹인용 玉洞 地質圖幅說明書 (옥동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6
[27] 웹인용 丹陽 地質圖幅說明書 (단양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7
[28] 저널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Ⅰ) (江原道 炭三田陟의 層序 및 古生物) https://www.dbpia.co[...] 1969-03
[29] 저널 Sedimentological Study on the Pungchon and the Hwajeol Formations, Gangweon-do, Korea (江原道에 分布하는 農村 및 花折層에 關한 堆積學的 硏究) https://www.dbpia.co[...] 1981-12
[30] 저널 원동지역 하부 조선누층군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Choseon Supergroup in the Weondong Area) https://www.dbpia.co[...] 2016
[31] 저널 조선누층군 풍촌석회암 방해석 쌍정에서 유추된 고응력장 (Paleostress Inferred from Calcite Twins in the Pungchon Limestone, Joseon Supergroup) https://scienceon.ki[...] 202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